즐거운 웹기획 세상
반응형

기획 21

웹기획자를 위한 전문 지식과 역량에 대한 심층적인 탐구

안녕하세요. 플래니지 해리입니다. 기획업무를 하다 보면 기획자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이 많이 있는데요, 그중에서 오늘은 기획자의 전문지식과 역량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한번 풀어보고자 합니다. 1. 사용자 중심의 설계와 경험 제가 여태 기획업무를 해오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은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반영하는 것이였습니다. 이를 위해 디자인 시스템의 구축과 관리는 필수적인 업무라고 생각했는데요, 디자인 시스템이 중요한 이유는 사용자에게 일관된 UI/UX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보다 빠르게 익숙해지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었습니다. 또한, 웹 접근성은 누구나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핵심 요소로 흔히 장애를 가진 사용자의 사용성을 간과하고 기획을..

기획 2023.11.20

잘못된 설계서 해결하는 방법, 이것만 하면 완벽해

안녕하세요. 플래니지 해리입니다. 화면을 설계하는 작업은 웹 개발과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핵심적인 작업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많은 경우, 화면설계서가 엉망으로 끝나는 상황을 경험해본적이 있을 텐데요. 익숙한 화면설계 작업의 벽을 느끼고 엉망으로 처리한 뒤 수정하는 일이 종종 발생합니다. 오늘은 우리들의 화면설계서가 엉망이 되는 이유를 살펴보고, 조금 더 정리가 잘 된 화면설계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 얘기해 보겠습니다. 1. 프로젝트 이해문제 문제 많은 화면설계서가 엉망이 되는 이유 중 하나는 프로젝트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입니다. 이해하지 못한 프로젝트의 목적, 목표, 사용자 요구사항, 비즈니스 프로세스 등을 충분히 파악되지 않았으니 당연히 설계서는 엉망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기획 2023.10.26

어려운 웹기획, 좌절의 순간들

안녕하세요. 플래니지 해리입니다. 오늘은 웹기획 업무 중 좌절하는 순간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많은 기획자 혹은 디자이너분들이 느끼셨던 통곡의 벽과 같은 내용들도 일부 있습니다. 이럴 땐 어떻게 나아가면 좋을지 같이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아이디어 부족으로 인한 좌절 처음 웹 기획을 시작하면서 그리고 현재까지도 가장 흔하게 겪는 좌절 순간 중 하나는 아이디어 부족입니다. 아이디어가 없다면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순간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요? 시장 조사: 시장 조사를 통해 현재의 트렌드와 경향을 파악하세요. 이를 통해 어떤 웹 프로젝트가 필요한지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유용한 도구 활용: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도구와 앱을 활용하세요. 브레인스토밍 앱..

기획 2023.10.24

[웹기획 필수]화면설계서 작성방법 노하우 공개

안녕하세요. 플래니지 해리입니다. 오늘은 웹기획자 업무의 꽃인 화면설계서입니다. 화면설계서가 무엇입니까? 프로덕트 매니저, 기획자(웹, 앱, 어플리케이션 등등)의 업무 중 가장 많은 업무 비중을 차지하는 UI설계서(혹은 화면설계서)는 다양하게 불려집니다. 화면설계서 화면정의서 스토리보드 MMI(Man Machine Interface) 다 똑같은 의미로 화면 안에 들어가는 구성요소, 기능, 정책 등을 자세하게 정의하고 서술하는 문서입니다. 화면설계서를 작성하는 이유는 프로젝트 담당자들이 요구사항정의, 기능정의에서 협의된 내용을 기준으로 목표 서비스(혹은 시스템)를 설계합니다. 프로젝트 담당자들은 이 설계화면을 보고 디자이너는 GUI작업을, 개발자는 기능을 구현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화면설계는 몇년전까지만해..

기획 2023.08.08

웹기획 업무 조언

안녕하세요. 플래니지 해리입니다. 오늘 기획하면서 "좌절했던 순간들"이라는 제목의 글을 작성하다 문득 생각나서 바로 끄적이고 있습니다. 기획 업무를 하면서 제가 후임들에게 가르친 기획 업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노하우를 오늘은 알려 드리겠습니다. 1. 고객의 요구사항은 꼭 기록해 둬라 프로젝트 초반 고객에게 요구사항을 전달받아 요구사항정의서를 작성했을 겁니다. 이것 외에도 프로젝트 진행 중 고객의 요구사항은 계속 발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력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해 이슈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나중에 크게 문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객과 커뮤니케이션 시 고객의 요청사항에 대한 내용들을 일일이 기록하고 처리현황을 지속적으로 추적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2. 회의 후 회의록은 필수 프로젝트 ..

기획 2023.08.07
반응형